<올해의 작가상> 전시 소개
이 전시는 2022년 10월 28일부터 2023년 3월 2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아카이브 프로젝트는 지하 1층, 2, 3, 4 전시실에서 전시가 진행됩니다. 관람료는 4,000원입니다. 관람 시간은 월, 화, 목, 금, 일 요일은 10:00 - 18:00 동안이며, 수요일과 토요일은 10:00 - 21:00까지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은 1월 1일, 설날, 추석에 휴관합니다.
이번 전시는 지난 <올해의 작가상> 10년 제작 과정들을 돌아보며 관객들로 하여금 작가와 작품, 그리고 전시에 기여했던 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해 우리가 사는 세계와 일상을 마주하는 여러가지 다른 방식을 제안하도록 하는 전시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올해의 작가> 전시를 진행해왔습니다. 2012년부터 SBS 문화재단이 본격적으로 국내 작가들을 후원하면서 <올해의 작가상>이라는 수상제도로 모습이 바뀌었습니다. 2021년까지 총 10회의 <올해의 작가상> 전시가 개최되었고, 이를 통해 총 40명의 작가가 <올해의 작가상> 참여 작가라는 이름으로 큰 기대와 함께 많은 관객과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2년은 <올해의 작가상>의 10년을 기념하며, ‘올해의 작가상’이라는 제도가 지금까지 우리 사회와 미술계에서 가지는 의의와 성과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역대 <올해의 작가상>을 기록했던 10년간의 영상 아카이브 자료를 살펴보며, ‘올해의 작가상’은 ‘왜 설립되었고, 왜 지속되어야 하는가? 국내 미술계, 넓게는 우리 사회 안에서 ‘올해의 작가상’이라는 제도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와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더 나아가서는, 대중과 현대미술 사이의 간극과 그 접점에 대한 고민을 이야기함과 동시에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현대미술 작업 활동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또한 지속적으로 미술관에서 현대미술 전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을 해보는 전시입니다.
2021년의 <올해의 작가상> 소개
‘인간과 세계에 대한 동시대적 관점’ 김상진 작가
김상진은 영상, 설치, 조각 등 다양한 매체와 형식을 활용하여 작업합니다. 이를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동시대적 관점과 변화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작가는 현실의 부조리함에 의구심을 품고,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과 현실을 시각화한 작업을 통해 동시대 예술의 현재를 조명합니다. 대안공간 루프(2014), 금호 미술관(2013) 등에서 개인전을 가진 바 있으며, 부산 현대미술관, 아라리오 뮤지엄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지금, 여기’, 방정아 작가
방정아는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회화 작품을 통해 ‘지금, 여기’를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작가입니다. 작가는 자신을 둘러싼 일상적이고 친숙한 동시대 풍경을 화폭에 옮기며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 이면에 존재하는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150여 차례 기획전에 참가한 바 있는 작가는 부산시립미술관(2019), 대안공간 풀(2008)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국립현대미술관, 부산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시간의 속성과 성질에 대한 실험’, 오민 작가
오민은 음악, 사운드,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시간의 속성과 성질을 실험하는 작가입니다. 작가는 감각의 영역을 확장하고 시간에 대해 탐구하고자 공연 예술과 시각 예술에서의 시간성과 움직임, 빛의 성질을 연구합니다. 또한, 시간과 시간 사이의 균열, 완전과 모순 사이를 횡단하는 신체적 사유를 파고드는 영상을 선보입니다.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2020), 아뜰리에 에르메스(2018) 등에서 개인전을 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송은 문화재단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주, 이동, 공동체’, 최찬숙 작가
최찬숙 작가는 이주, 이동, 공동체를 주제로 시각언어를 꾸준히 구축해 온 작가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위치와 존재에 관한 다양한 시선과 이야기를 여러 형식을 통해 보여줍니다. 작가는 오래 이주 생활을 하며 정신적 이주와 물리적 이주에 관해 ‘땅과 터전’을 기반으로 한 토지 소유 문제에 관심을 키워왔습니다. 타이베이 디지털아트센터(2020), 아트선재센터(2017) 등에서 개인전을 했으며, 현대자동차 VH AWARD(2019), 서울시립미술관 신진 작가지원 프로그램(2017) 등에 수상했습니다.
댓글